교정정보

교정정보

청각참조표준이란?

참조표준이란, 측정 데이터 및 정보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과학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공인함으로서 국가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널리 지속적으로 사용되거나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자료를 말합니다. (국가표준기본법 제3조7항)

한국인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기존 외국 참조표준을 적용할 경우, 진단 및 검사를 정확하게 수행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한국인의 특성에 맞는 청각 참조표준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한국인 청각 데이터센터는 한국인의 청각 분야 데이터를 수집 생산하고 보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제정된 한국인 청각 참조표준은 난청 보건 사업, 이어폰/보청기 등 의료기기, 청각연구소, skull simulator, 청각 치료 및 재활, APP 개발 등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청각검사기기의 교정 필요성

현재 국내의 청각검사기기는 병원 또는 대리점의 요청 시 제조사의 점검을 통해 관리되고 있습니다. 기관마다 기기교정을하는 주기는 대부분 1년을 주기로 안내하지만 실제로는 큰 대학병원을 제외한 소규모의 병원 또는 대리점에서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거나 큰 고장이 나지 않으면 정기적인 점검 없이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납니다.

하지만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종합병원의 청력계 교정상태를 확인 결과, 국제 기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결과가 다수 발견되었으며, 이러한 교정에 대한 인식 부족과 더불어 공인 교정 절차 지침서가 없고 숙련도 시험 등 교정자를 평가할 프로그램이 전무하여 보정 절차 및 교정자의 상호 비교 또한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교정을 정기적으로 진행한다고 해도, 업체마다 교정을 진행하는 기준은 각 회사 내 규정에 따라 진행되므로 통일되어있지 않고, 국내에서 업체들 간의 영점조정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국가공인기관이 존재하지 않았기에 알 수 없었습니다.

‘현재 장애진단을 위한 청력검사 시, 건강 보험공단 기준으로 6분법을 사용하여 진단을 내립니다. 이때, 6분법 결과가 아래로 4dB가 변하면 6.26%, 위로 4dB가 변하면 17.83% 장애인 진단이 변할 수 있으며, 연간 2만명의 청각장애인 중에 24%인 4800명이 잘못 진단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일반적으로 PTA 검사 시 dB step을 5dB로 두고 검사를 진행하며, 이는 청력검사 시 1단계(=5dB)만 차이가 나더라도 장애 진단 여부가 바뀔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6분법 = (0.5 + 1x2 + 2x2 . +4kHz) / 6

기기회사의 보정과
공인인증기관의 차이점

(주)오디에스오는 이러한 문제점을 발견 후 보완하기 위해 국내최초로 청력계 국가공인기관 KOLAS의 인증을 받은 공인기관으로, 전국 어느 청각기기에서 검사를 진행하여도 결과값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며, 더 나은 청각검사 및 진료서비스 개선과 발전에 힘쓰고 있습니다.

청각참조표준이란?

참조표준이란, 측정 데이터 및 정보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과학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공인함으로서 국가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널리 지속적으로 사용되거나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자료를 말합니다. (국가표준기본법 제3조7항)

한국인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기존 외국 참조표준을 적용할 경우, 진단 및 검사를 정확하게 수행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한국인의 특성에 맞는 청각 참조표준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한국인 청각 데이터센터는 한국인의 청각 분야 데이터를
수집 생산하고 보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제정된 한국인 청각 참조표준은 난청 보건 사업, 이어폰/보청기 등 의료기기,
청각연구소, skull simulator, 청각 치료 및 재활, APP 개발 등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청각검사기기의 교정 필요성

현재 국내의 청각검사기기는 병원 또는 대리점의 요청 시 제조사의 점검을 통해 관리되고 있습니다. 기관마다 기기교정을
하는 주기는 대부분 1년을 주기로 안내하지만 실제로는 큰 대학병원을 제외한 소규모의 병원 또는 대리점에서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거나 큰 고장이 나지 않으면 정기적인 점검 없이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납니다.

하지만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종합병원의 청력계 교정상태를 확인 결과, 국제 기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결과가 다수
발견
되었으며, 이러한 교정에 대한 인식 부족과 더불어 공인 교정 절차 지침서가 없고 숙련도 시험 등 교정자를 평가할
프로그램이 전무하여 보정 절차 및 교정자의 상호 비교 또한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교정을 정기적으로 진행한다고 해도, 업체마다 교정을 진행하는 기준은 각 회사 내 규정에 따라 진행되므로 통일되어
있지 않고, 국내에서 업체들 간의 영점조정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국가공인기관이 존재하지 않았기에 알 수 없었습니다.

‘현재 장애진단을 위한 청력검사 시, 건강 보험공단 기준으로 6분법을 사용하여 진단을 내립니다. 이때, 6분법 결과가
아래로 4 dB가 변하면 6.26%, 위로 4 dB가 변하면 17.83% 장애인 진단이 변할 수 있으며, 연간 2만명의 청각장애인 중에
24%인 4800명이 잘못 진단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일반적으로 PTA 검사 시 dB step을 5 dB로 두고 검사를 진행하며, 이는 청력검사 시 1단계(=5 dB)만 차이가 나더라도
장애 진단 여부가 바뀔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6분법 = (0.5 + 1x2 + 2x2 . +4kHz) / 6

기기회사의 보정과 공인인증기관의 차이점

(주)오디에스오는 이러한 문제점을 발견 후 보완하기 위해 국내최초로 청력계 국가공인기관 KOLAS의 인증을 받은 공인기관으로,
전국 어느 청각기기에서 검사를 진행하여도 결과값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며, 더 나은 청각검사 및 진료서비스 개선과
발전에 힘쓰고 있습니다.

상호명: 주식회사 오디에스오 ㅣ 대표자: 서영준 |

사업자번호: 707-88-02766 |
 통신판매업신고: 제 2024-강원원주-01287 호 


TEL: 031-895-5106 ㅣ EMAIL: audiso@naver.com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 기업도시로 200, 

의료기기종합지원센터 603호 



Copyright  © 2023. 주식회사 오디에스오. All rights reserved.

상호명: 주식회사 오디에스오 ㅣ 대표자: 서영준 ㅣ 사업자번호: 707-88-02766 ㅣ 통신판매업신고: 제 2024-강원원주-01287 호

TEL: 031-895-5106 ㅣ EMAIL: audiso@naver.com ㅣ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 기업도시로 200, 의료기기종합지원센터 603호


Copyright  © 2023. 주식회사 오디에스오. All rights reserved.